본문 바로가기

투자

연금저축펀드는 필수다? 연금저축펀드 하는 방법과 해야하는 이유(feat. 1차 투자일지)

반응형

노후 준비의 필수 콘텐츠. 연금저축펀드

 

 코로나 이후 주식, 채권, 청년도약계좌 등 자산 축적 방법이 다양하게 알려졌습니다. 수 많은 투자 방법 중에 필수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 있으니 바로 연금저축펀드입니다.

 

연금저축펀드의 특징

 

연금저축펀드 가입 대상자

 

 연금저축펀드는 국내 거주자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가입 방법

 

 연금저축펀드는 원하는 증권사를 어느곳이든 선택해서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증권사들이 앞다투어 가입자들을 모집하고 있어 가입방법은 대부분 간단하게 되어 있습니다.

 

 수수료가 낮거나 기존에 사용하던 익숙한 증권사를 선택하면 됩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일년에 600만원까지 투자 가능

 

 연금저축펀드는 가장 큰 혜택(연말정산 환급)의 한도가 연 600만원이므로 납입 한도는 연 600만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연금저축펀드의 연말정산 혜택

  종합소득금액 근로소득금액
소득 4,500만원 이하 4,500만원 초과 5,500만원 이하 5,500만원 초과
공제율 16.5% 13.2% 16.5% 13.2%
공제금액 99만원 79만 2천원 99만원 79만 2천원

 

 연금저축펀드는 납입만으로 소득에 따라 연 13.2% 또는 16.5%의 연말정산 환급을 받습니다. 가장 큰 혜택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소득이 연 5,500만원 이하인 근로자는 600만원 납입만으로 연 99만원의 연말정산 환급을 받으므로, 1인 가구이거나 알뜰한 소비로 지출이 적어 연말정산을 뱉어내는 사람이라면 이만한 상품이 없겠죠.

 

연금저축펀드의 수령 방법

 

 연금저축펀드의 최대 단점은 수령 방법입니다. 연금저축펀드는 만 55세부터 최대 수령 가능한 범위 내에서 연금식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최소 가입기간 5년)

 

 따라서 연 600만원까지 납입을 하면서도 만 55세까지 필요하지 않는 금액의 범위에서 투자해야 합니다. 만약 정말 필요해서 인출할 경우 연말정산 환급분을 반납해야 합니다.

 

연금저축펀드 활용법

 

 연금저축펀드는 예적금처럼 돈을 모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펀드'입니다. 주식형, 채권형 등 다양한 투자 방식을 본인이 선택할 수 있는데요. 연금으로 위험투자를 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다만 만 55세까지 연금의 목적으로 누적하는 상품인만큼 안정성 또한 챙겨야 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은 전 세계 시장 중 가장 안정적인 미국 시장의 지수를 추종하면서도 배당이 나오는 상품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는 국내 상품만 가능하므로 일반적으로 미국  Dow Jones US Dividend 100 지수를 추종하는 미국 상품인 SCHD를 추종하는 미국배당다우존스 시리즈, 여기에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배당률을 높인 커버드콜 상품들 중에 선택하며 국내주식은 배당률이 높은 우선주인 현대차2우B에 투자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요약

 

 연금저축펀드는 결국 아래와 같이 요약됩니다.

 

 ① 만 55세부터 수령 가능한 연금 상품이다.

 ② 연 최대 600만원까지 적립 가능하다.

 ③ 적립 금액에 따라 1년 최대 79.2만원/99만원 연말정산 환급이 된다.

 ④ 적립금으로 다양한 상품(주식, 채권 등)을 매수할 수 있다.

 

 요새는 젊을때부터 노후를 준비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왕 노후를 준비한다면 최대 99만원까지 연말정산 환급이 되는 것을 이용해 매년 신규투자금의 10%대의 손실율을 방어해주면서 배당까지 받을 수 있는 연금저축펀드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는 점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