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사

온난화인데 점점 더 추워지는 이유는? 북극의 해빙 때문이다!

내이야기방 2023. 1. 25. 21:17
반응형

작가 jannoon028 출처 Freepic

 

 

 

날씨가 더울땐 엄청 덥고 추울땐 엄청 춥습니다. 지구 온난화라고 해서 점점 더 더워지는건 이해되는데 해가 갈수록 더 추워지는 이유가 뭘까요? 지구 온난화가 거짓말이었던걸까요?

 

그것은 바로 북극의 해빙 때문입니다. 온난화로 인해 더 추워지는 이유는 북극의 빙하들이 녹아 물이 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북극의 빙하는 태양의 빛을 반사해서 지구가 흡수하는 열을 최소화해주는데 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으면서 태양으로부터 내리쬐는 열을 북극의 바다가 흡수하고 있습니다. 반면 남극은 남극대륙이라고 불리는만큼 두꺼운 눈과 얼음 아래에 대륙이 있기 때문에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또한 북극의 얼음은 남극보다 두께가 얇아 쉽게 녹습니다.

 

태양열을 북극의 바다가 흡수한다는 것은 북극이 점점 따뜻해지고 북극과 그 아래 지역의 온도차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트기류 (출처: NASA/GSFC)

 

 

 

제트기류(Jet Stream)는 세계 제2차대전 당시 일본에 폭탄을 투하하고 돌아오던 B-29 폭격기가 예상 시간보다 늦게 도착하면서 발견된 기류입니다. 성층권에 위치한 이 기류는 온도경도(거리에 따른 기온의 변화율)이 클수록 강해집니다.

 

우리가 여름에 더운 이유는 온도경도가 약한 여름엔 제트기류가 남쪽으로 내려오기 때문이고 겨울에 추운 이유는 온도경도가 강해져 제트기류가 극지방으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극지방의 찬 공기가 퍼지는 것을 제트기류가 막고 있는 것입니다.

 

지구온난화가 되면서 북극이 따뜻해지고 남쪽 지방과 온도차가 줄어들고 있는데 이는 극지방과 남쪽 지방의 온도차가 줄어든다는 것이고 온도경도가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북극의 찬 공기가 아래로 내려오는 힘이 점점 더 강해진다는 뜻입니다.

 

북극이 태양열을 받아 따뜻해졌다고 해도 북극은 북극인만큼 북극에서 내려오는 찬 공기는 엄청나게 차갑습니다. 날이 갈수록 한파의 수준의 강해지는건 결국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고 우리의 삶이 갈수록 힘들어진다는 뜻입니다. 

 

 

 

 

 

 

20여년 전 개봉 된 영화 투모로우를 처음 볼 때는 "그냥 조심하자는 의미겠지", "에이 설마 영화니까 그렇겠지" 라고 받아들였었던 것 같은데 지금 상황에서 지켜보자니 20년 전에도 과학자들은 예측하고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실현될 수도 있다는 무서움도 느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