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코인거래가 알려지기 시작한건 2017년경이었습니다. 저도 2017년에 입문했는데 당시에는 코인의 존재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화폐를 대신할 것이다, 튤립버블이다, 그냥 투기판이다 의견이 엇갈렸죠. 결국 가장 큰 돈을 번 사람은 코인이 세상을 바꿀것이라고 믿은 사람들이었습니다.
그 후 수년이 지난 지금 코인을 바라보면 코인은 부동산, 금과 같은 가치저장수단이 된 것 같습니다. 물론 시장 자체는 코인으로 평생 연금을 받아보려는 사기꾼과 도박꾼들이 넘치지만 그건 주식시장도 마찬가지기입니다. 주식시장에도 안정적인 대형주, 실체 없이 주식만 존재하는 회사, 물량 넘기려는 작전세력, 도박꾼 등이 존재하니까요. 소위 '박상기의 난'으로 불리는 당시 박상기 법무부 장관의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 발언은 국가차원의 발언으로는 너무 성급했다고 생각합니다.
코인시장에는 다양한 투자사들이 유입됐지만 그들은 매수와 매도를 통한 시세차익으로 돈을 번다기보단 유명인을 앞세워 간판을 세우고 ICO 투자를 한 뒤 상장시키는 방식으로 돈을 벌고 있습니다. 차익거래를 하지 않는 이유는 변동성이 크다는 리스크가 가장 크겠지만 투자자들의 자금을 코인 매수에 사용할만큼의 가치와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건 일반인들에게도 마찬가지라서 대부분은 차트의 모양이나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코인을 매수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감에 의존하거나 근거없는 매매는 상승장에는 시세가 오르지 않아 수익을 못보고 조정장이 찾아오면 하락을해서 손해를 보게 만듭니다.
그래서 코인 매매를 위해서는 이 시장이 어떤 흐름으로 돌아가는지 알아야 합니다.
코인에는 카테고리가 존재합니다. 위의 자료는 인터넷에 퍼져있는 자료인데 시간이 지나 현재와는 다르거나 사라진 코인들도 있는데요. 최신자료는 아니지만 코인도 주식 테마처럼 카테고리가 있다는 점을 아는데는 좋은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카테고리가 주도하는 상승장에서는 그 카테고리와 연관된 코인을 매수해야지 안오른 코인이라고 잡고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코인은 저렇게 그럴싸한 카테고리가 있지만 실제 거래에서는 우수울정도로 다양한 카테고리가 있고 실제로 적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동전메타(1000원 이하), 엽전메타(100원 이하), 유의빔(유의종목 지정은 악재임에도) 등이 있는데 이는 코인 매매를 실제로 하다보면 저절로 알 수 있습니다.
FOMO를 조심해야 합니다. FOMO는 Fearing of missing out의 약자로 유행에 뒤처지는 것에 공포를 느낀다는 의미인데 코인시장에는 급등하는 시세에 나만 올라타지 못해 수익을 보지 못할 것에 대한 공포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코인은 다른 자산들과 비교해서 시세의 급등락이 잦은데 코인 거래를 오래 한 사람조차 '급등이 이어질 때 조금만 먹고 나오자'라는 심리를 이기지 못해 손해를 봅니다. 세력이 자제력을 잃게끔 시세를 조종하기 때문에 자신만의 확고한 원칙과 멘탈을 갖고 매매에 임해야 합니다.
'투자 >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승장이 왔을 때 가장 폭등 가능성 높은 코인. 아비트럼(ARB) 코인 분석. (0) | 2023.05.29 |
---|---|
밈코인 3대장 도지코인, 시바이누, 베이비도지코인. 코인 대박은 아직 존재할까? (1) | 2023.02.06 |
2023년 코인 반등 시작. 이더리움을 사야 하는 이유는? (1) | 2023.01.18 |
2023년 코인을 모아가야 하는 이유. 거시경제적으로 바라보자. (2) | 2023.01.17 |
걸어서 돈버는 코인 스테픈(Stepn). 폰지사기일까? 장점과 위험성. (1)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