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학력을 증명하기 위해 졸업증명서, 제적증명서 등 각종 증명서를 요청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요즘에는 인터넷에서 간단한 인증과 절차만 거치면 다양한 서류를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지만 학교 관련 서류는 인터넷에서 처리가 불가능하다는 특이한 점이 있습니다.
또한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 대학원의 내용이 다릅니다. 학교 관련 서류 발급에 대해 완벽정리 해드리겠습니다.
1. 학교를 직접 방문하거나 각 학교의 증명발급 사이트 이용
첫번째 방법은 해당 학교에 직접 방문하거나 각 학교의 증명발급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방문할 때는 신분증만 지참하면 되고 사이트를 이용할 때는 각 학교에서 정하는 인증 방법을 통하면 됩니다.
초중고등학교, 대학교 모두 국공립학교는 수수료가 무료이며, 사립대학교는 각 학칙을 따르는데 일반적으로 3000원~5000원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2. 인터넷 신청 후 읍면동사무소 방문
두번째는 정부24(www.gov.kr)사이트에서 신청하는 방법입니다.
정부24 사이트의 졸업증명서 발급 페이지에 들어가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만 입력하면 추가 인증 없이 간단하게 졸업증명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특이한 점은 '초중고등학교 관련 서류 신청은 불가능'하다는 것과 '프린터 발급이 안되고 읍면동사무소를 지정해 찾으러 가야한다는 것'입니다.
신청 후 신분증을 가지고 읍면동사무소를 방문하면 학교에서 팩스로 보내준 졸업증명서를 교부해줍니다. 원본과 동일한 효력을 인정받지만 만약 고화질의 서류를 발급받고 싶다면 1번(직접 방문 또는 각 학교의 증명발급 인터넷 사이트 이용) 방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수수료는 국공립학교는 무료이며, 사립대학교는 1,000원입니다. 수수료는 인터넷에서 결제할 수 없고 읍면동사무소 방문 시 반드시 현금으로 납부해야 합니다.
3. 가까운 읍면동사무소에서 신청
신분증만 지참해서 가까운 읍면동사무소에 방문한 뒤 간단한 서류만 작성하면 됩니다.
이 방법은 읍면동사무소에서 학교에 팩스민원을 신청하는 방식입니다. 역시 서류가 팩스로 전송되어 고화질의 서류는 아닌 점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또한, 법정 처리기간이 3시간이기때문에 학교에서 신청과 동시에 송신해주지 않을 수 있으므로 대기시간이 있습니다. 급하다면 학교에 연락해서 빠른 처리를 요청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수수료는 국공립학교는 무료이며, 사립대학교는 건당 1,000원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역시 수수료는 현금으로만 지불해야 합니다.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이한 표정으로 마무리하는게 특징인 시그마 밈. 시그마 밈이 대체 뭘까? (0) | 2023.02.25 |
---|---|
무지출 챌린지 꿀팁 대방출 1탄. 설문조사 이용하기. (0) | 2023.02.25 |
제적등본이란? 제적등본 발급받는 방법과 보는 방법. (0) | 2023.02.21 |
호적, 제적등본이란 무엇일까? 2008년 이후 호적제도의 폐지와 가족관계등록제도의 등장 (0) | 2023.02.21 |
우리나라를 꾸준히 위협하는 ICBM. 대륙간탄도미사일이란? (1) | 202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