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예

(27)
중국 명곡 소개. 한뢰(韩磊)의 향천재차오백년 무슨 노래일까? 꼭 들어봐야 할 중국 노래. 중국 불후의 명곡 중국노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접하기 쉽지 않을 뿐더러 좋아하기에 감성적으로 맞지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향천재차오백년(向天再借五百年)은 우리나라 사람도 감정적으로 와 닿을 수 있습니다. 비록 가사는 전혀 이해할 수 없지만 그 특유의 웅장함은 중국 특유의 감성이 물씬 묻어나기 때문입니다. 아마 한국 내에서 유명한 중국노래를 꼽으라면 '워 아이니~'라는 특유의 가사와 리듬으로 잘 알려진 영화 첨밀밀의 OST인 등려군(鄧麗君)의 월량대표아적심(月亮代表我的心) 다음으로 많이 나올 곡입니다. 다만 리듬만 알고 가사는 모르는 분이 많으실거라는 생각은 듭니다. 곡을 부른 한뢰는 누구? 향년재차오백년을 부른 가수는 중국의 싱어송라이터인 한뢰(韩磊, Han Lei)입니다. 그는 한족인 아버지와 ..
고쿠부 유리에(Kokubu Yurie). 시티팝을 좋아한다면 꼭 들어야 할 가수. 가수 소개와 추천곡. 수많은 시티팝 명곡을 남긴 고쿠부 유리에 시티팝은 1970~80년대 일본 음악의 풍부한 음향과 도시적인 분위기를 갖는 곡을 지칭하는 단어입니다. 시티팝에서 대표적인 가수를 꼽으라면 일반적으로 시티팝의 대모 타케우치 마리야와 시티팝 제2의 전성기를 이끈 마츠바라 미키를 꼽습니다. 하지만 시티팝을 다양하게 듣다보면 위의 두 가수 외에도 훌륭한 가수들이 많다는 것을 느낍니다. 그 중 한명이 바로 고쿠부 유리에(国分 友里恵, Kokubu Yurie)입니다. 고쿠부 유리에는? 고쿠부 유리에는 1955년 1월 18일생으로, 어린 시절부터 꾸준히 음악을 배우며 활동하다가 1983년 앨범 「Relief ~72 HOURS」를 통해 솔로 여가수로 데뷔합니다. 앨범을 프로듀싱한 하야시 테츠지는 재일교포 작사가인 강진화와 합..
크리스마스 음악. 명곡 추천. 이나가키 준이치 「크리스마스 캐럴이 흐를 무렵에는」. 이나가키 준이치는 1953년 출생의 일본 가수로 특히 1980~90년대에 활발하게 활동했습니다. 어릴때부터 밴드 활동을 통해 음악적 소양을 키웠다고 하는데요. 그의 가수 인생은 평탄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1982년 데뷔 싱글인 "Rainy Regret"(雨のリグレット Ame no riguretto)를 시작으로 그의 곡은 드라마 삽입곡으로 채택되는 등 인기를 끌었고 다수의 TV 프로그램에도 출연했습니다. 일본 80~90년대 유명 가수들은 구설수에 휘말려 길게 활동하는 경우가 드문 반면, 이나가키 준이치는 2000년대에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흔치 않은 가수입니다. 그만큼 자기관리가 뛰어나고 사생활이 깨끗한 편입니다. 첫번째 부인과 2006년 사별하고 2007년에 두번째 부인을 만났습니다. 이나가키 준이치는 ..
추억의 노래. 오오츠카 아이의 사쿠란보(さくらんぼ). 노래방 번호는 몇번?? 사쿠란보(さくらんぼ)는 제목은 몰라도 "어디서 들어봤는데..." 하는 생각을 들게 할정도로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 중반 싸이월드 배경음악이나 컬러링으로 사용됐을만큼 인지도가 높았던 곡입니다. 이 곡은 2003년 12월 17일 발매 된 일본가수 오오츠카 아이(Ai Ostuka)의 곡으로 제목 사쿠란보는 '버찌'를 뜻합니다. 일본에서 10주연속 10위권 이내를 유지한 오오츠카 아이의 대표적 히트곡입니다. 버찌라는 곡명에 어울리는 오오츠카 아이의 귀여운 목소리와 숨막힐듯 이어지는 빠르고 신나는 템포가 인상적입니다. 발매 10여년이 지난 후 갑작스런 유행 발매된 지 10년이 훨씬 지났지만 '사쿠란보 챌린지'를 통해 틱톡에서 갑작스럽게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요즘 대부분의 학생들은 사쿠란보를 사쿠란보 챌린지로 ..
시티팝이 듣고 싶을 땐? 시티팝의 신세계를 경험하게 해 줄 Tokimeki Records. 곡추천. 토모코 아란(Tomoko Aran) - 「Midnight Pretender」. 시티팝 추천곡과 가수 추천. Feat. The Weeknd 「Out of Time 시티팝은 일본의 1980년대 음악 트렌트를 지칭하는 단어입니다. 막상 당시의 일본음악을 시티팝이라고 부르지는 않았다고 하네요. 시티팝의 특징은 여유로운 감성과 풍부한 사운드입니다. 시티 my-story-room.tistory.com 2010년 이후 주목받기 시작한 시티팝. 시대를 무시하는 장르이지만 싫어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제2의 마이클 잭슨이라고 불리는 미국 싱어송라이터 더 위켄드(The Weeknd)가 2022년 발표한 「Out of Time」은 토모코 아란의 1983년 시티팝 곡 「Midnight Pretender」를 샘플링한 ..
시티팝 가수 안리(ANRI) 소개와 음악 추천. Feat. I can't stop the loneliness 안리(Anri, 杏里)는 1961년 생으로 본명은 카와시마 에이코(川島 栄子)입니다. 1978년에 데뷔한 일본 가수로서 현재 시티팝으로 칭하는 장르로 활동했습니다. 시티팝은 2010년대부터 갑작스럽게 관심을 받기 시작한만큼 데뷔부터 현재까지 활동하는 가수가 많지 않은데 안리는 1978년 데뷔 앨범부터 비교적 최근인 2019년까지 앨범을 낼만큼 장수 가수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미국에서 거주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다르게 일본 여가수 중에는 시원하게 고음을 구사하는 경우를 보기 힘든데 안리는 40여년 전이었지만 지금 기준으로도 탄탄한 가창력을 자랑합니다. 그런 점이 국내에 팬들 만드는데 큰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꼭 들어봐야 할 안리의 곡 추천 1983년 발표한 앨범 「TIMELY!!..
토모코 아란(Tomoko Aran) - 「Midnight Pretender」. 시티팝 추천곡과 가수 추천. Feat. The Weeknd 「Out of Time」 시티팝은 일본의 1980년대 음악 트렌트를 지칭하는 단어입니다. 막상 당시의 일본음악을 시티팝이라고 부르지는 않았다고 하네요. 시티팝의 특징은 여유로운 감성과 풍부한 사운드입니다. 시티팝의 사운드는 지금의 음악들보다 풍부하다는 생각을 들게 하는데요. 40여년 전의 음악이 지금보다 풍부한 사운드를 자랑하는건 당시 일본의 버블경제 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유한 경제력과 그에 따른 여유 그리고 자본이 쏟아부어진 음악 장르인 시티팝은 2020년을 전후해서 전 세계적인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시티팝 유행을 주도했던건 틱톡 쇼츠 영상 삽입곡으로 인기를 끌었던 마츠바라 미키의 「Stay With Me」였습니다. 마츠바라 미키는 'Stay With Me'라는 명곡을 남김과 동시에 불우하게 마친 짧은 생으로 더욱 큰..
방시혁의 그녀 나카모리 아키나 2탄. 꼭 들어야 할 곡들을 추천해드립니다.(1탄 소개글 링크있음) Jpop의 전설 나카모리 아키나는 누굴까? 추천곡과 이야기들. 나카모리 아키나(Nakamori Akina, 中森 明菜)는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리던 일본 솔로 여가수입니다. 이름을 한자 그대로 읽으면 '중림 명채'인데, 한국 팬들은 명채 누나라는 애칭으로 부르기도 합 my-story-room.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는 1980년대 일본 대표 아티스트이자 방탄소년단을 프로듀싱한 빅히트의 방시혁 회장이 팬이기도 한 나카모리 아키나를 소개했습니다. 개인적으로 나카모리 아키나 하면 떠오르는 두 곡 'OH NO, OH YES!'와 'DESIRE'를 추천드렸는데요. 나카모리 아키나의 디스코그래피를 단 두곡으로 표현하기에는 아쉬워 나카모리 아키나 2탄을 준비했습니다. 난파선 / 1987년 앨범(싱글)..
Jpop의 전설 나카모리 아키나는 누굴까? 추천곡과 이야기들. 나카모리 아키나(Nakamori Akina, 中森 明菜)는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리던 일본 솔로 여가수입니다. 이름을 한자 그대로 읽으면 '중림 명채'인데, 한국 팬들은 명채 누나라는 애칭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요새는 BTS는 물론 트와이스, 뉴진스같은 국내 그룹이 일본 음악계를 뒤흔들고 있지만 1980년대는 우리나라보다 일본 음악이 세련됐던 것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당시 우리나라는 일본문화를 배격하는 분위기여서 음악을 좋아하던 사람들은일본 음악을 마음 속으로만 좋아했었습니다. 그것을 방증하듯 BTS의 아버지격인 빅히트의 방시혁 회장 또한 나카모리 아키나의 팬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80년대는 나카모리 아키나의 전성기였지만 일본음악의 전성기이기도 했기에 그녀가 1980년대 일본음악의 일인자라고 말..
2019년 일본을 달군 일본 밴드 오피셜히게단디즘과 추천곡 소개 오피셜히게단디즘(Official髭男dism)은 일본 남성4인조 밴드그룹입니다. 그룹 이름부터 굉장히 독창적인데요. 히게단(髭男)은 '수염 남자'라는 뜻으로 Official + 髭男 + dism을 혼합한 그룹 명은 '수염이 어울리는 나이가 되어서도 재밌는 노래를 만들고 싶다.'라는 꿈과 의지가 반영되었다고 합니다. 멤버는 후지하라 사토시(보컬, 피아노, 작사, 작곡), 오자사 다이스케(기타), 나라자키 마코토(베이스), 마츠우라 마사키(드럼) 총 네명입니다. 후지하라 사토시는 보컬과 작사 작곡을 모두 도맡아 하는만큼 주요 멤버입니다. 전통적으로 밴드 음악이 인기인 일본은 그만큼 사회인 밴드 기반이 잘 되어 있습니다. 오피셜히게단디즘도 사회인 밴드 출신으로, 직장과 퇴근 후 밴드 활동을 겸하다 밴드 전업을 ..